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몸캠피싱
- 팀카시아
- 영상 사기
- 영통협박
- 사이버 범죄 구제 업체
- 엑셀#직장인칼퇴#칼퇴#직장인엑셀#VBA 배열#배열변수
- 영상사기
- 영상유출
- 카톡 영상 유출
- 카카오톡 협박
- 영통사기
- 카톡 영상 사기
- 동영상유포협박
- 랜덤채팅 사기
- 몸캠피씽
- 동영상 사기
- 영통 협박
- 사이버범죄구제
- 사이버범죄구제업체
- 영상통화사기
- 영상통화 사기
- 라바웨이브
- 영상통화 협박
- 카카오톡 사기
- 라인 동영상 유포
- 메신저톡 사기
- 라인 영상통화 사기
- 라인 영상통화 협박
- 영상통화 유출
- 카톡 영상 협박
- Today
- Total
Lost Information!
엑셀 VBA 기초 - 한글, 영어, 숫자, 기타문자를 알아내는 엑셀 본문
모두가 칼퇴하는 그날까지~
지난 글에서는
엑셀 시트를
PDF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만일 저번 내용을 모르시거나
기억이 나질 않으신다면
밑에 글을 참고해주세요.
엑셀 VBA 기초 - 엑셀시트를 PDF로 저장하기
모두가 칼퇴하는 그날까지~ 지난 글에서는 데이터 유효성 검사로 누락되거나 숫자를 문자로 적었을 경우 알려주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만일 저번 내용을 모르시거나 기억이 나질 않
red-s.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한글과 영어, 숫자,
기타 문자까지 알아내는
엑셀이 알아내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무작위로 적은
문자들을 구분하도록
설정하는 것인데요.
암호를 사용할 때도
또는 필요한 문자만을
입력하게 하는
유효성 검사를 활용할 때
도움이 되니 꼭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ALT + F11을 눌러주세요.
이렇게 적어주시면 됩니다.
바로 설명해드리면
Sub Like_Test_03()
Like_Test_03이라는
매크로를 만들게
Dim lngText As Long
Dim i As Long
Dim lngTemp As Long
Dim lngHan As Long
Dim lngEngL As Long
Dim lngEngS As Long
Dim lngNum As Long
Dim lngEtc As Long
숫자를 받는 변수인
lngTexT ~ lngEtc라는
변수를 만들게
Range("G9:L9"). ClearContents
G9부터 L9까지 콘텐츠만
삭제해줘
(적는 문자가 변경되어
다시 실행할 경우
기존의 문자를 지우기 위해)
lngText = Len(Range("E8"))
문자를 입력하는 칸(E8)의
문자의 개수를 계산해
(Len이라는 함수가
문자의 개수를 세는 함수)
Range("G9") = lngText
그 값을 G9에 넣어줘
For i = 1 To lngText
1부터 전체 문자 개수만큼
반복할 텐데
If Mid(Range("E8"), i, 1) Like "[ㄱ-흫]" Then
E8에 있는 문자 중에서
ㄱ-흫(한글)까지
범위에 있다면
lngHan = lngHan + 1
한글에 +1을 해주고
ElseIf Mid(Range("E8"), i, 1) Like "[a-z]" Then
E8에 있는 문자 중에서
a-z(영어 소문자)까지
범위에 있다면
lngEngL = lngEngL + 1
영어 소문자에 +1을 해주고
ElseIf Mid(Range("E8"), i, 1) Like "[A-Z]" Then
E8에 있는 문자 중에서
A-Z(영어 대문자)까지
범위에 있다면
lngEngS = lngEngS + 1
영어 대문자에 +1을 해주고
ElseIf Mid(Range("E8"), i, 1) Like "[0-9]" Then
E8에 있는 문자 중에서
0-9(숫자)까지
범위에 있다면
lngNum = lngNum + 1
숫자에 +1을 해줘
Else
lngEtc = lngEtc + 1
그리고 무언가 남았다면
기타 문자에 +1을 해줘
End If
Next i
Range("H9") = lngHan
Range("I9") = lngEngL
Range("J9") = lngEngS
Range("K9") = lngNum
Range("L9") = lngEtc
변수들의 위치를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End Sub
이렇게 적고 확인하면
이렇게 구분되어
표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문자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았다면
이제 유효성 검사를 통해
원하는 문자를 구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암호 생성 시
대문자, 영어, 특수문자가
꼭 들어가야 하는 것들도
똑같은 걸 활용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여기까지 궁금하신 점은
댓글에 남겨주시고
공감과 구독도 부탁드립니다.